본문 바로가기
정보한사발/경제정보

애플페이 티머니 사용법과 완벽 가이드

by 고루고루 알차게 2025. 7. 24.

 

 

드디어 출시! 애플페이 티머니 교통카드

애플페이 티머니
애플페이 티머니

 

2025년 7월 22일, 드디어 한국에서도 애플페이를 통한 티머니 카드 사용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동안 미국, 일본, 중국, 홍콩 등 일부 국가에서만 제공되던 애플페이 교통카드 기능이

마침내 국내에도 도입된 것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애플페이 티머니의 설정 방법부터 실제 사용 후기,

장단점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애플페이 티머니 설정 방법

 

 

 

 

 

1. 기본 설정 과정

  • 지갑(Wallet) 앱 실행
  • 상단의 '+' 버튼 클릭
  • 교통카드 리스트에서 '티머니' 선택
  • 원하는 금액 충전 (충전식 방식)
  • 애플페이에 등록된 카드로 결제

2. 자동 충전 기능 설정

 

이번 애플페이 교통카드 중 최초로 티머니에서 자동 충전 기능을 지원합니다.

잔액이 설정한 금액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충전되는 편리한 기능입니다.

 

 

익스프레스 교통카드 모드

애플페이 교통카드 기능
애플페이 교통카드 기능

 

가장 인상적인 기능은 '익스프레스 교통카드' 설정입니다.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 페이스ID 인증 불필요
  • 잠금 화면에서도 작동
  • 아이폰을 단말기에 대기만 하면 즉시 인식

실제 테스트 결과, 인식 속도가 매우 빠르고 환승도 정상적으로 처리됩니다.

 

 

아이폰과 애플워치 호환성

 

 

 

 

 

 

 

중요한 발견사항이 있습니다.

아이폰으로 승차하고 애플워치로 하차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각 기기별로 별도의 카드로 인식되기 때문에 같은 기기로 승차/하차해야 합니다.

 

택시 이용 테스트

 

택시에서도 애플페이 티머니 결제가 원활하게 작동합니다.

다만 자동 충전의 경우, 결제 시점에 잔액이 부족하면 결제가 거부되고,

사후에 충전이 이루어집니다.

 

편의점 결제 테스트

 

세븐일레븐에서 테스트한 결과, 편의점 결제도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결제 후 잔액이 설정 금액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 충전이 즉시 실행됩니다.

 

애플페이 티머니의 장점

애플페이 티머니
애플페이 티머니

 

1. 뛰어난 편의성

  • 별도 카드 소지 불필요
  • 빠른 인식 속도
  • 익스프레스 모드로 간편한 사용

2. 보안성

  • 온디바이스 정보 저장
  • 생체 인증 지원

3. 충전 방식의 다양성

  • 애플페이를 통한 충전
  • 티머니 앱을 통한 계좌이체, 일반카드 충전
  • 지하철역 충전기 이용 가능 (서비스 모드 활성화 시)

 

애플페이 티머니의 한계점

 

 

 

 

 

 

 

 

1. 할인카드 미지원

현재 가장 큰 한계점은 할인카드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 기후동행카드 미지원
  • 각종 할인카드 미지원
  • 단순 충전식 카드만 지원

2. 기존 카드 잔액 이전 불가

플라스틱 티머니 카드의 잔액을 애플페이로 이전하는 기능은 현재 지원되지 않습니다.

 

3. 환불 시스템

애플 지갑 앱에서 직접 환불하는 기능이 없어, 환불을 원할 경우 티머니에 별도 문의해야 합니다.

 

추천 대상

  • 대중교통을 가끔 이용하는 사람
  • 지갑을 자주 깜빗하는 사람
  • 최신 기술을 선호하는 얼리어답터
  • 외출 시 짐을 최소화하고 싶은 사람

비추천 대상

  • 매일 출퇴근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직장인
  • 할인혜택을 중시하는 사용자
  • 월 교통비가 5만원 이상인 사용자

추가 정보 : 연령 제한

  • 애플페이 티머니는 14세 이상만 사용 가능
  • 청소년 할인은 티머니 앱에서 별도 등록 후 이용 가능

 

애플페이 티머니는 분명히 혁신적이고 편리한 서비스입니다.

카드를 따로 소지할 필요 없이 아이폰만으로 대중교통과 일부 매장에서

결제할 수 있다는 점은 큰 장점입니다.

 

향후 기후동행카드 등 할인카드 지원이 추가된다면,

애플페이 티머니가 국내 교통카드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