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한사발/경제정보

2026년 주거급여 완벽 가이드, 변화사항 및 신청 방법

by 고루고루 알차게 2025. 8. 7.

 

 

 2026년 주거급여 변화 개요

 

주거급여 완벽가이드
주거급여 완벽가이드

 

2026년은 대한민국 주거복지 역사상

가장 큰 변화를 맞는 해입니다.

기준 중위소득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상승하면서,

더 많은 국민이 주거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핵심 변화 요약

 

 

 

 

 

기준 중위소득 상승: 1인가구 256만원, 4인가구 649만원

주거급여 인상: 서울 1인 가구 기준 월 36만 9천원

청년 지원 확대: 근로소득 공제 대상 19~34세로 확대,

공제액 60만원으로 증액

자동차 기준 완화: 소형 승합차·화물차 소유 시에도 가능

보증금 지원 확대: 전세 거주자도 조건 충족 시 일부 지원

 

 

2. 기준 중위소득 대폭 상승과 그 의미

 

기준 중위소득 상승기준중위 소득 상승
기준 중위소득 상승

 

기준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

로 나열했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 기준으로 복지혜택 대상자를 선정하며, 

기준이 오를수록 더 많은 가구가 복지 혜택을 받게 됩니다.

 

1인 가구: 256만원 (5.2% 인상)

2인 가구: 427만원 (4.8% 인상)

4인 가구: 649만원 (4.3% 인상)

 

3. 주거급여 완전 분석

 

 

 

1) 가구원수별 주거급여 최대 지급액 (서울 기준)

 

1인 가구: 36만 9천원 (1만 7천원 인상)

2인 가구: 43만 7천원 (2만 1천원 인상)

3인 가구: 52만 4천원 (2만 5천원 인상)

4인 가구: 59만 6천원 (2만 8천원 인상)

 

 

2) 주거급여 신청 자격 조건

 

주거급여 소득기준주거급여 소득기준
주거급여 소득기준

 

소득 기준: 기준 중

위소득 48% 이하

 

1인 가구: 소득 인정액 123만원 이하

2인 가구: 소득 인정액 205만원 이하

4인 가구: 소득 인정액 311만원 이하

 

가능한 경우: 월세, 전세, 반전세 거주

불가능한 경우: 자가 소유, 가족 명의 주택 거주

 

4. 주거급여 특별 혜택

 

 

 

 

 

자동 지급: 생계급여·의료급여 수급자는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지급

 

현금 지급: 월세처럼 계좌에 직접 입금

 

보증금 지원: 2026년부터 전세 거주자도

조건 충족 시 일부 지원

 

청년 근로소득 공제: 19~34세 대상

최대 60만원 공제 (기존 40만원에서 증액)

 

 

5. 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

 

주거급여 신청방법
주거급여 신청방법

 

1) 신청 방법

 

오프라인: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 (bokjiro.go.kr) 접속

 

2) 필요 서류 (주거급여 기준)

 

신분증, 임대차 계약서

통장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소득·재산 관련 서류

 

3) 신청 및 지급 일정

 

신청 기간: 연중 상시 접수

지급 시작: 신청일 기준 익월부터

2026년 변경사항: 1월 1일부터 자동 적용

(별도 신청 불요)

 

 

6. 문의 및 상담

 

 

 

 

2026년 주거급여 확대로 더 많은 국민이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월세 부담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조건이 맞는 지 확인해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복지 상담 콜센터: 129

복지로 홈페이지: bokjiro.go.kr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상담 가능

 

 

 

반응형

댓글